반응형
에버노트를 막 시작했거나, 한동안 사용하다가 점점 복잡해진 노트들로 인해 혼란을 겪고 있다면 가장 먼저 정리해야 할 것이 바로 노트북과 태그 시스템입니다. 이 글에서는 에버노트의 기본이자 핵심인 노트북과 태그를 활용한 정리 전략을 소개합니다.
✅ 왜 노트북과 태그가 중요한가?
에버노트는 무한히 많은 노트를 만들 수 있지만, **정리 체계가 없다면 ‘정보의 무덤’**이 되기 쉽습니다.
정리된 노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합니다:
-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
- 아이디어나 자료를 주제별로 묶을 수 있다
- 장기적으로 일관된 기록 습관을 유지할 수 있다
📁 1. 노트북: 주제를 분류하는 ‘폴더’
노트북은 큰 카테고리를 나누는 도구로, 주로 프로젝트별 / 주제별 / 역할별로 구분합니다.
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식이 있습니다:
💼 업무용
- [프로젝트 A]
- [회의록]
- [기획서]
📚 공부용
- [영어 공부]
- [독서 기록]
- [강의 정리]
🏡 개인용
- [가계부]
- [여행 계획]
- [건강 관리]
👉 팁: 에버노트는 ‘스택’이라는 개념으로 노트북을 그룹화할 수 있으므로, 관련된 노트북을 하나로 묶어서 더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어요!
🏷️ 2. 태그: 노트 간 연결고리를 만드는 키워드
태그는 노트를 가로지르는 키워드입니다. 하나의 노트에 여러 태그를 붙일 수 있고, 이는 검색과 분류를 더욱 정밀하게 만들어 줍니다.
예시: ‘미팅 노트’에 붙일 수 있는 태그들
- @회의
- #2025년
- #프로젝트A
- #긴급
👉 이렇게 하면 프로젝트별, 년도별, 성격별로 동일한 노트를 묶어 검색할 수 있어요.
🧠 노트북 vs 태그: 어떤 걸 언제 써야 할까?
목적 노트북 태그
정보의 저장 위치 | O | X |
검색 필터링 도구 | △ | ◎ |
노트당 여러 분류 | X (한 개만 가능) | O (여러 개 가능) |
계층 구조화 | O (스택 활용) | X (플랫 구조) |
👉 정리 전략:
- 노트북은 저장 공간,
- 태그는 검색 필터로 생각하면 좋습니다.
✍️ 실전 예시: 업무용 노트 정리법
[노트북 구조]
- 업무
- 회의록
- 아이디어
- 보고서
[태그 예시]
- #고객미팅
- #아이디어
- #김부장지시
- @긴급, @검토중, @완료
이 구조만 유지해도 수백 개의 노트를 빠르게 검색하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.
💡 마무리 팁
- 태그는 최소한의 규칙으로 시작해서 점점 확장하세요.
- 노트 제목에 날짜나 규칙(예: [회의] 2025-05-05)을 추가하면 검색이 더 쉬워집니다.
- 정기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태그나 노트북을 정리하거나 병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.
노트를 잘 정리하는 건 단순히 메모를 잘하는 걸 넘어, 자신의 정보 자산을 관리하는 습관이 됩니다. 에버노트를 제대로 정리하면, 하루에도 여러 번 열어보고 싶은 ‘나만의 지식 창고’가 되어줄 거예요.
반응형
'IT & 생산성 도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📝 회의록과 강의노트, 에버노트 하나면 정리가 끝! (0) | 2025.05.06 |
---|---|
🔖 에버노트 웹 클리퍼 200% 활용법! (2) | 2025.05.06 |
에버노트(Evernote)로 아이디어와 업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방법 (0) | 2025.05.06 |
👥 Todoist 활용법 ⑪ – 작업 공유 및 협업 기능으로 팀워크 강화하는 방법 (0) | 2025.05.05 |
📂 Todoist 활용법 ⑩ – 프로젝트와 서브태스크로 복잡한 일을 간단하게 관리하는 방법 (1) | 2025.05.05 |